2019년도 가을 학기 첫 강독회가 이번 주로 다가왔습니다. 9월 21일 (토)에 있을 첫 강독회는 윤태진 (성신여대) 교수님이 “Python Package들을 이용한 음성 및 언어 자질 추출”의 내용으로 튜토리얼을 이끌어 주실 예정입니다. 회원 여러분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공은정 올림
1. 강독회 발표 안내
----------------------------------------------------------------------------------------
일시: 9월 21일 (토)
시간: 오전 10시30분부터 오후 1시 정도까지
장소: 서울역 근처의 대우재단 빌딩 7층 제2세미나실
----------------------------------------------------------------------------------------
발표자: 윤태진 (성신여자대학교)
Tutorial: Python Package들을 이용한 음성 및 언어 자질 추출
실험음성학 2019학년도 2학기 첫 강독해에서는 Praat가 가진 음향 자질 추출의 장점과 Python이 가진 텍스트 자질 추출의 장점을 함께 활용해 보는 시간을 가질 것입니다. Python을 활용하여 Praat의 여러 기능들을 통제할 수 있으면, Praat이 음성 분석에서 가지는 장점은 물론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어로서의 Python이 가지는 여러 장점도 함께 활용할 수 있어 아주 강력한 파워를 가질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본 강독회에서는 Python에서 Praat을 조종할 수 있는 Parselmouth라는 패키지와 Praat의 TextGrid에 있는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tgt라는 모듈을 활용하여 음향 자질과 텍스트 자질을 통합하여 음성분석을 할 수 있는 기반에 대해 Jupyter Notebook을 기반으로 하여 배울 예정입니다.
Python을 사용해 왔고, pip 등을 통해 패키지 등을 설치해 본 경험이 있으면 사용하던 컴퓨터를 가지고 와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Python을 많이 사용해 보지 않았거나 처음인 분들은 https://www.anaconda.com/downloads에서 자신의 OS에 맞는 anaconda 배포판을 설치해서 강독회에 참석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예를 들어 window용 노트북을 사용하는 분들은 anaconda에서 Python 3.7 version에서 64-bit Graphical Installer를 눌러 설치하면 됩니다.
한국음성학회가 주최하는 2019 가을국제학술대회의 요약문 최종 마감일이 9월 16일로 다가왔습니다. 현재 요약문을 접수 중이오니, 회원 여러분들께서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발표자가 원하실 경우 제한된 수의 논문(구두 및 포스터 각각 6-8편)에 한해 제목과 초록은 영문으로 제출 받은 후 우리말 발표 세션을 구성할 예정입니다. 우리말 발표를 원하실 경우, sicss2019@gmail.com으로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Seou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peech Sciences 2019 (SICSS 2019)
“Speech Sciences Moving Forward: New Methods, Data and Populations”
Abstract Submission Deadline 16 September 2019
Dates 15 (Fri) - 16 (Sat) November 2019
Venu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Theme Speech Sciences Moving Forward: New Methods, Data and Populations
The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KSSS) will host the Seou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peech Sciences 2019 (SICSS 2019) between 15 and 16 November 2019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The abstract submission is now open for this conference. For more information, please visit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음성연수회는 음성연수회는 처음 오는 이들(학생, 전공의)에게는 내용이 어렵고, 여러 번 온 이들에게는 주제가 반복되어 다소 식상하다는 청중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기초적인 부분은 더욱 이해하기 쉽고, 전문적인 부분은 조금 더 참신하고 업데이트 된 주제로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습니다. 또한 전공의 길라잡이를 신설하여, 후두음성학을 낮설고 어려워하는 전공의들에게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금번 연수회에서는 학생, 전공의, 언어치료사, 전문의를 아우르는 후두음성언어의학을 전공하는 모두에게 매년 귀중한 배움의 기회가 되는 모임이라고 생각하며, 후두음성학의 기반을 다지고 저변을 넓히는데 밑바탕이 된다고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부디 참석하시어, 소중한 배움의 기회를 얻고, 열띤 토론과 질문을 부탁드립니다.
<행사개요>
- 일시: 2019년 10월 5일(토)
- 장소: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본관 2층 유광사홀
- 참가규모: 300여명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하루 동안 팝업창을 띄우지 않습니다.
2019 가을국제학술대회 요약문 마감일 연장 안내: 9월 16일
보다 많은 분들의 참여를 위해 한국음성학회가 주최하는 2019 가을국제학술대회의 요약문 마감일을 9월 16일로 연장합니다. 현재 요약문을 접수 중이오니, 회원 여러분들께서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발표자가 원하실 경우 제한된 수의 논문(구두 및 포스터 각각 6-8편)에 한해 제목과 초록은 영문으로 제출 받은 후 우리말 발표 세션을 구성할 예정입니다. 우리말 발표를 원하실 경우,sicss2019@gmail.com으로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Seou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peech Sciences 2019 (SICSS 2019)
“Speech Sciences Moving Forward: New Methods, Data and Populations”
Extended Abstract Submission Deadline 16 September 2019
Dates 15 (Fri) - 16 (Sat) November 2019
Venu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Theme Speech Sciences Moving Forward: New Methods, Data and Populations
The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KSSS) will host the Seou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peech Sciences 2019 (SICSS 2019) between 15 and 16 November 2019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The abstract submission is now open for this conference. For more information, please visit
지난학기 회장으로 수고해 주신 한남대학교 손민정 선생님에 이어, 2019년 가을 학기 실험 음성학 강독회 회장을 맡게 된 항공대학교 공은정입니다. 저와 함께 올 가을 학기에도 인천대학교 이현정 선생님께서 총무로 수고해 주시겠습니다.
2019년도 가을 학기 강독회를 이끌어 발표를 해주실 발표자 선생님과 일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이번학기 첫 강독회 ( 9월 21일, 토)에서 많은 분들을 뵐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공은정 올림
----------------------------------------------------------------------------------------
일시: 매월 세째주 토요일
시간: 오전 10시30분부터 오후 1시 정도까지
장소: 서울역 근처의 대우재단 빌딩 7층 제2세미나실
----------------------------------------------------------------------------------------
+++++++++++++++++++++++++++++++++++
2019년가을학기실험음성학강독회발표안내
(1) 9월 강독회: 9월 21일 토요일
발표자: 윤태진 (성신여자대학교)
Tutorial: Python Package들을 이용한 음성 및 언어 자질 추출
(2) 10월 강독회: 10월 19일 토요일
발표자: 이고운 (성균관대학교)
논문강독: Perception of lexical stress and sentence focus by Korean-speaking and Spanish-speaking L2 learners of English
Lee, G., Shin, D. J., & Garcia, M. T. M. (2019). Perception of lexical stress and sentence focus by Korean-speaking and Spanish-speaking L2 learners of English. Language Sciences, 72, 36-49.
(3) 11월 강독회는 11월 15-16일에 있을 2019 가을 국제학술대회 (Seou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peech Sciences 2019 (SICSS 2019)) 로대신합니다.
*R을 활용한 혼합효과모델 (Mixed effects model)을 튜토리얼 형식으로 진행할 예정이며 자세한 특강 내용은 9월 강독회에서 전달 예정임
+++++++++++++++++++++++++++++++++++
하루 동안 팝업창을 띄우지 않습니다.
2019 가을국제학술대회 요약문 마감일 안내
한국음성학회가 주최하는 2019 가을국제학술대회의 요약문 마감일이 8월 31일로 다가왔습니다. 현재 요약문을 접수 중이오니, 회원 여러분들께서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발표자가 원하실 경우 제한된 수의 논문(구두 및 포스터 각각 6-8편)에 한해 제목과 초록은 영문으로 제출 받은 후 우리말 발표 세션을 구성할 예정입니다. 우리말 발표를 원하실 경우, sicss2019@gmail.com으로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학술대회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학술대회 홈페이지 http://www.sicss.or.kr/나 https://sicss2019.wordpress.com/를 참조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한국음성학회 2019 가을국제학술대회 조직위원회 드림-
CALL FOR PAPERS
Seou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peech Sciences 2019 (SICSS 2019)
“Speech Sciences Moving Forward: New Methods, Data and Populations”
Abstract Submission Deadline 31 August 2019
Dates 15 (Fri) - 16 (Sat) November 2019
Venu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Theme Speech Sciences Moving Forward: New Methods, Data and Populations
The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KSSS) will host the Seou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peech Sciences 2019 (SICSS 2019) between 15 and 16 November 2019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The abstract submission is now open for this conference. For more information, please visit
http://www.sicss.or.kr/ or https://sicss2019.wordpress.com/submission/.
Keynote Speakers
Phonetics
Allard Jongman, The University of Kansas, USA
- Keynote Speech: Enhancing intelligibility: Hyperarticulation, visual, and lexical contributions
- Tutorial Lecture: The role of training in the formation of new sound categories
Speech Disorders
Keith R. Kluender, Purdue University, USA
- Keynote Speech: Long-standing problems in speech perception dissolve within an information-theoretic perspective
- Tutorial Lecture: Virtues of (co)variance for perceptual learning
Speech Technology
Helen Meng,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Hong Kong
- Keynote Speech: Speech AI for learning and wellbeing
- Tutorial Lecture: Research advancement in Text-to-Speech synthesis
The topics of the conference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서울대학교 언어학과에서는 8월 13일에 동경대학교 Nobuaki Minematsu 교수님을 초청해서 제 5차 언어학 콜로퀴엄을 아래와 같이 진행합니다. Minematsu 교수님은Spoken Language Processing 분야에서 손 꼽히는 주요 연구자이며 Computer Assisted Language Learning 분야의 전문가이기에 한국음성학회 회원 여러분께도 유익한 콜로퀴엄이 되리라고 기대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한 발표 요약을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Interspeech 2012에서 Minematsu 교수님이 진행했었던CALL Tutorial 파일도 참고하시라고 함께 첨부합니다.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주최 2019년도 제 5차 언어학 콜로퀴엄
일시: 2019년 8월 13일(화) 오후 3시~5시
장소: 서울대학교 4동 302호 (신양인문관 국제회의실)
발표자: Nobuaki Minematsu 교수 (동경대학교)
제목: How can speech technologies support learners to improve their skills of speaking, listening, conversation and more?
콜로퀴엄이 끝난 후, 오후 5:30~7:00에 Minematsu 교수님과 저녁 식사를 서울대학교 두레미담에서 함께 하면서 자유 대화 시간도 가질 예정입니다. 식당 예약을 위해서 이 자리에도 침석하실 분들은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정민화 교수님에게 8월 12일까지 이메일(mchung@snu.ac.kr)로 연락 주시기 부탁합니다.
MMM 2020 국제학술대회 대회장 KAIST 노용만 교수, 프로그램 위원장 KAIST 김준모 교수입니다.
제 26회 멀티미디어 모델링 국제 학술대회(The 2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ultimedia Modeling)가 2020년 01월 05일(일)부터 08일(수)까지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될 예정입니다.
올해로 26회를 맞는 MMM 2020은 유럽, 아시아 등에서 매년 25개국가, 200여명이 참석하여 개최되어 왔으며,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개최되는 ACM의 SIGMM (Special Interest Group in Multimedia) 의 전세계 연구자들이 활동하는 국제학술대회입니다. 전세계의 학계, 연구소 및 산업계 연구자들에게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인공지능, 멀티미디어 분야에서 독창적인 연구결과 및 실제 개발 경험을 공유하고, 최근 멀티미디어와 인공지능의 융합 연구의 독창적인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습니다.
이번 대회에서는 기조강연, 스페셜 세션, Video Browser Showdown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국내외 관련 분야의 최신 기술 교류와 연구동향 파악의 자리를 마련하고자 합니다. 또한, 세계 각국의 관련 연구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연구 결과들을 발표하고, 미래에 대한 예측과 전망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한 참여자 상호간의 학술적인 논의와 소통은 물론 미래 유망 기술에 대한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견하고 있습니다.
MMM 2020의 논문접수가 7월 31일(수)까지 연장되어 현재 논문 접수가 진행 중이며, 귀중한 연구결과를 널리 알고, 보람찬 토론의 장이 될 수 있도록 주변연구자분들및학생들의제출독려를부탁드립니다.
이번 국제 학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논문 발표 및 참석에 각별한 관심을 가져 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MMM 2020의 주요 일정, 논문 투고 방법, 기조연사, 프로그램 등 자세한 정보는 대회 공식 웹사이트 (www.mmm2020.kr)을 통해 확인 하실 수 있으시며, 문의 사항이 있으시면 사무국(mmm2020@mmm2020.kr)으로 언제든지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MMM 2020 대회장 KAIST 노용만교수
MMM 2020 프로그램위원장 KAIST 김준모교수
하루 동안 팝업창을 띄우지 않습니다.
2019 가을국제학술대회 요약문 모집 안내
한국음성학회에서는 아래와 같이 2019 가을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 현재 요약문을 접수 중이오니, 회원 여러분들께서 적극적으로참여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우리말 발표를 원하실 경우, sicss2019@gmail.com으로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한국음성학회 2019 가을국제학술대회 조직위원회 드림-
CALL FOR PAPERS
Seou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peech Sciences 2019 (SICSS 2019)
Date 15 (Fri) - 16 (Sat) November 2019
Venu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Abstract Submission Deadline 31 August 2019
Theme Speech Sciences Moving Forward: New Methods, Data and Populations
The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KSSS) will host the Seou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peech Sciences 2019 (SICSS 2019) between 15 and 16 November 2019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The abstract submission is now open for this conference. For more information, please visit
Asia Pacific Corpus Linguistics Conference 2020
Yonsei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February 11-14, 2020, www.apclc2020seoul.kr
The biennial Asia-Pacific Corpus Linguistics Conference is now entering the fifth round with Seoul 2020, following upon the successes of Auckland 2012, Hong Kong 2014, Beijing 2016, and Takamatsu 2018. APCLC 2020 will be a gathering of academics and practitioners in corpus linguistics from the Asia Pacific area, where we talk about developments in the use of corpora in discourse analysis, lexical & grammatical studies, language acquisition, learning & education, lexicography, pragmatics & sociolinguistics, (machine) translation studies, and (digital) literary studies. We hope APCLC 2020 to be a forum for exchange in ideas and expertise, where we lay the foundations for future developments in the application of corpus resources in Asia and the Pacific. To this effect, we will highlight three specific areas for future development: new methods in textual data analyses; possible collaboration between academia and industry; and national corpora in Asia. Please join us in Seoul, APCLC 2020.
1. Important Dates
- July 31, 2019: Deadline for abstracts
- September 13, 2019: Notification of acceptance
- September 16, 2019: Early-bird registration opens
- January 10, 2020: Early-bird registration closes
- February 10, 2020: Pre-conference workshops
- February 11-14, 2020: Main conference (February 14, 2020: National Corpus Day)
- February 15, 2020: Excursion
3. Plenary Speakers
- Sylviane Granger (Université Catholique de Louvain – UCLouvain, Belgium)
- David Hoover (New York University, USA)
- Mark Davies (Brigham Young University, USA)
- Vaclav Brezina (Lancaster University, UK)
- Hong Won Suh (Yonsei University, Korea)
4. Keynote Speakers
- Michael Barlow (University of Auckland, New Zealand)
- Mark Brenchley (Cambridge Assessment, UK)
- Winnie Cheng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Hong Kong)
- Jae-Woong Choe (Korea University, Korea)
- Jong-Bok Kim (Kyung Hee University, Korea)
- Heokseung Kw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 Vikram Ramanarayanan (Educational Testing Services, USA)
- Seok-Chae Rhee (Yonsei University, Korea)
- Ute Römer (Georgia State University, USA)
- Naixing Wei (Beihang University, China)
7. Hosted by
• Asia Pacific Corpus Linguistics Association (APCLA)
• Korean Association for Corpus Linguistics (KACL)
8. Organized by
• BK21Plus Project,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Yonsei University
• Institute of Language and Information Studies (ILIS), Yonsei University.
한국언어학회는 올해부터 격년으로 3일간 여름학교를 개최합니다. 국내외의 저명한 학자를 초빙하여 I, II부로 나누어 12강좌를 개설하고 있습니다. I부는 총 9강좌로서 각 강좌는 100분씩 3회이며 수강생은 최대 3강좌를 수강할 수 있습니다. II부는 특강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3강좌로 각 강좌는 100분씩 1회로 자유로이 수강할 수 있습니다. 2019년 여름학교는 건국대학교에서 아래와 같은 일정으로 개최됩니다.
언어학 학교는 한국언어학회 회원뿐만 아니라 비회원도 참가할 수 있습니다. 학부생, 대학원생, 연구자 등 언어학에 관심 있는 다양한 분들의 참여를 환영합니다.
1. 강의 목록
○ 개설 과목
강의는 다음의 시간표와 같이 진행됩니다. 참가자는 언어학 학교 개최 기간 동안 자유롭게 수강 과목을 선택·변경할 수 있습니다.
- 강의 시간 및 개설 과목
○ 강의 개요 (I 부)
각 강의의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한국어 문법론: 임동훈(이화여대)
• 한국어 문법론 강의는 세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된다. 제1강은 ‘한국어 조사의 문법’을 다룬다. 여기서는 격조사와 보조사의 개념, 분류, 분포, 기능에 대해 종합적으로 논의한다. 제2장은 ‘한국어의 시간 표시 방법’에 대해 다룬다. 여기서는 한국어에서 시간 개념이 상과 시제라는 문법 범주를 통해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시간 표시 방법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제3강은 ‘한국어의 문장 유형’에 대해 다룬다. 여기서는 평서문, 의문문, 청유문, 명령문 등의 문장 유형에 대해 표현 수단, 하위부류, 기능에 대해 종합적으로 논의한다.
2) 심리언어학/제2언어습득: 이성은(서울대)
• 본 강의는 심리언어학의 기본 방법론을 중심으로 심리언어학 연구를 소개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특히 최근 심리언어학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용하고 있는 세 가지 방법론-행동반응측정, 뇌영상술, 안구운동측정을 직접 시연하고 실습하는 과정을 통해서 참여자들이 심리언어학 연구를 직접 경험하는 기회를 갖게 된다. 또한 이러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그동안 연구해 온 제2언어습득 연구의 결과를 소개하게 된다. 이를 통해 심리언어학의 대표적인 하위 연구 분야를 구체적으로 접해볼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날짜별 강의 주제>
첫째날: 행동반응측정과 심리언어학: Psychopy와 반응시간 측정
둘째날: 뇌영상술과 심리언어학: EEG 뇌파측정법
셋째날: 안구운동측정과 심리언어학: Eye-tracking
3) 의미론: 염재일(홍익대)
• 강의는 세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는 semantic entities에 대한 것으로, 우리말 "것"은 많은 것들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우리말 "것"이 사람에 대하여 쓰지 않는 것이 보통이지만 내핵관계절과 유사분열문에서는 사람을 가리킬 때도 "것"이 사용된다. 이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것"이 individual이 아닌 stage를 가리키는 경우에 사람이지만 "것"을 쓴다는 것과 반대로 individual보다 더 추상적인 것을 가리킬 때도 사람이지만 "것"을 쓸 수 있다는 주장을 한다. 특히 유사분열문은 connectivity effect를 보이는데 이를 위하여 individual concept보다 더 추상적인 것을 가리킨다. 이런 논의 가운데 stage, individual, individual concept, non-contextual meaning, character 등의 semantic entities를 언급한다. 둘째 주제는 문장을 서법사구(Mood Phrase)라고 할 때, 우리말이 서법사가 내포문에도 나타나는데 특히 내포문에 나타날 때 내포문의 의미해석을 어떻게 하는가는 최근에 새로운 이슈가 되었다. propositional attitude verb를 가능세계에 대한 양화사로 취급하던 전통적인 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해석을 하려는 시도가 대두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논의와 내포문의 이접/연접 (혹은 양화) 현상, 그리고 명제로 나타낼 수 없는 명령문의 의미 등 speech act와 관련된 현상을 소개한다. 이 과정에서 event, situation, fact, proposition, speech act 등을 언급할 것으로 생각한다. 셋째 주제는 Free Choice Effect를 척도함축의 연장선상에서 설명하려는 시도가 최근에 계속되어 왔는데 이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지적하고 새로운 종류의 추론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한다. 이런 과정에서 existence implicature를 언급한다.
4) 통사론/생성문법: 김광섭(한국외대)
• 최소주의, 이동, 복사 이론, 그리고 재구 효과
• 본 강의에서는 생성문법이 처음 등장한 이후 계속해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이동(movement)을 주요 주제로 다룬다. 최소주의(Minimalism)의 이전 이론에서는, ‘이동’이란 문자 그대로 단어나 구가 움직이는 것을 의미하였다. 최소주의의 대표적인 특징 중의 하나는 이러한 이동을 복사이론으로 재해석하고 있다는 것이다. 복사이론에 따르면, 이동은 복사(copy)와 병합(merge)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주장대로 이동이 복사와 병합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이동이 발생할 경우 복수의 복사본이 만들어지게 되고,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복사본 중에서 단 하나의 복사본이 발음되고 해석된다. 본 강의에서는 어떠한 원리에 의하여 여러 복사본 중에서 하나의 복사본이 선택되는지를 탐구하고자 한다. 복사이론을 Chomsky(1995)가 처음 주장하게 된 가장 큰 동기는 재구효과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본 강의에서도 주 초점을 재구효과에 맞출 예정이다.
5) 언어와 통계: 전종호(서울대)
• 본 강좌는 R을 사용한 통계분석에 대한 강의이다. simple linear regression에서 시작해서 mixed-effects model에 집중할 것이며, interaction effect와 categorical variable의 coding system에 대해서도 다룰 계획이다.
6) 언어유형론: 송재목(한국외대)
• 언어유형론(linguistic typology)은 친족관계에 있지 않은 다양한 언어들을 조사하여 귀납적인 방법에 의해 인간 언어에서 관찰되는 구조적 차이점과 한계를 살펴보고 나아가 인간 언어의 보편성(universal)을 발견하고자 하는 언어 연구의 방법론이다. 언어유형론에서는 또한 인간 언어에서 관찰되는 구조적 차이점이나 보편성에 대해 다양한 설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언어유형론적 연구를 통해 우리는 언어의 본질에 대해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언어유형론의 연구는 언어의 모든 영역에서 가능하다. 음운론, 형태론, 어휘론, 통사론, 의미론 분야에서의 연구뿐만 아니라, 역사언어학, 사회언어학, 심리언어학, 언어습득 등의 영역에서도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강의에서는 언어유형론에서 이루어진 지금까지의 성과들을 정리하고, 언어유형론이 언어학에 어떠한 기여를 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언어유형론의 방법론과 과제, 한국어에서 이루어진 언어유형론적 연구에 대해서도 함께 다루겠다.
7) 음성음운(운율, prosody): 김미란(경상대)
• 음악에서 ‘노래’는 가사와 멜로디가 함께 어우러져 전달하려는 메시지와 감성을 표현하기 때문에 어느 한쪽만으로는 온전하게 노래를 구현하기 어렵다. 이와 유사하게 실제 발화되는 언어(speech)를 보다 정확하게 연구하기 위해서는 분절음과 함께 실현되는 개별 언어의 운율을 반드시 함께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강의에서는 음성언어를 구성하는 주요 성분인 운율(prosody)을 음성적 측면과 음운론적 측면에서 이해하는 시간을 갖고, 개별 언어의 운율적 특성을 연구하는 데 기반이 되는 기초적인 연구 방법론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운율의 범위는 개별 어휘의 강세(stress) 및 성조(tone)로부터, 구(phrase) 단위의 피치액센트(pitch accents), 그리고 문장의 억양(intonation) 및 언어의 리듬(rhythm)을 포함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제1강에서는 운율에 대한 기초적 이해 및 이론적 배경, 제2강에서는 강세, 억양 및 리듬의 이해, 제3강에서는 운율의 실험 연구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한다. 운율(prosody)의 이해는 자음이나 모음과 같은 분절음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지만, 오늘날 데이터 처리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음성음운 연구에서도 다양한 실험 연구가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단순히 ‘말하는’ 인공지능을 넘어서서 ‘자연스럽게’ 말하고 대화하는 인공지능을 꿈꾸고 있는 현실이다. 본 강의를 통해 미래의 언어연구를 이끌어가게 될 대학원생들이 운율에 더 많은 관심을 수 있는 시간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8) 한국어 말뭉치언어학: 김한샘(연세대)
• 이 강의는 한국어 말뭉치 언어학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를 위한 기초 강의이다. 말뭉치 언어학의 기본 개념을 확인하고 한국어 말뭉치에 기반한 연구 방법론을 실제 한국어 말뭉치의 구축과 활용을 중심으로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일차에는 말뭉치 언어학의 기본 단위와 개념을 한국어에 적용할 때의 쟁점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어 말뭉치 언어학의 현황과 전망에 대해 논의한다. 2일차에는 기존의 형태, 어휘 단위 주석 말뭉치에서 한걸음 나아가 한국어 문장의 통사의미적 특성을 살펴볼 수 있는 구문 분석 말뭉치, 의미역 분석 말뭉치, 추상 의미 표현 말뭉치, 화행 주석 말뭉치 등의 구축과 활용에 대해 설명한다. 3일차에는 1, 2일차 강의 내용을 기반으로 최근 한국어 말뭉치 중 가장 활발하게 연구 자원으로 사용되는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의 유형, 학습자 말뭉치의 기본적인 정량 분석, 복잡성과 유창성 등 학습자 평가 관점에서의 학습자 말뭉치 분석 방법론에 대해 소개한다.
9) 화용론 특강: 이성범(서강대)
• 언어를 나무에 비유한 이성범(2000)에서는 “의미는 언어의 꽃”이라고 했는데 이제 더 나아가 “소통은 언어의 열매”라고 할 수 있다. 꽃이 아무리 예쁘더라도 결실을 맺지 못하면 가치가 덜한 법인데 다행히 우리의 언어는 다채롭고 화려한 의미를 보여주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적절한 맥락의 도움을 받아 의미에 내재된 생각과 감정, 지식과 정보를 교환하고 상호 관계를 형성, 유지하고, 발전시켜 나가면서 각자의 존재 의의를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언어적 소통을 가능케 했다. 화용론은 언어적 의미가 소통으로 이어지는 역동적 전개 과정을 다양한 관점과 연구 방법을 통해 탐구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언어학과 인접 학문 사이의 융합적 연구를 선도하면서 그 동안은 도외시되었던 여러 영역에서 사실상 금기시되었던 “왜?”라는 질문을 던짐으로써 인간 언어의 존재론적, 목적론적 근거에까지 접근하고 있다. 이런 배경하에 본 강좌에서 우리는 전통적인 보편주의 화용론과 횡단문화적 화용론에서의 주요 이론과 분석을 검토하고 감정의 표현과 소통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 강의 개요 (II 부)
1) 특강 1(월요일): 빅데이터 언어학 (송상헌, 고려대)
• 최근 사회 전반에 걸쳐 주요하게 주목받은 이슈 가운데 하나가 빅데이터라는 개념일 것이다. 언어학 연구도 예외는 아니어서 지난 몇 년간 수많은 학술대회가 ‘빅데이터 시대의 언어연구’라는 타이틀을 내걸고 진행되었다. 그러나 아직 ‘빅데이터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명확하기 답을 내놓을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은 형편이어서, ‘빅데이터 언어학’이라는 개념도 상당히 모호하게 사용되고 있다.본 특강은 데이터 그리고 빅데이터의 개념에 대해서 돌아보고, 앞으로 변화되는 시대에서 언어학의 방법과 대상이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시간으로 구성될 것이다. 더 나아가 인공지능과 딥러닝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서 언어학이 어떠한 이바지를 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언어연구자가 어떠한 준비를 해나가야 하는지를 짚어볼 것이다.
2) 특강 2(화요일): 한국 수화 언어학의 이해(장세은, 한국해양대)
• 강의는 크게 두 개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 부분은 한국수화언어(KSL)의 개요를 본 강사의 선행연구와 더불어 2002년부터 2018년까지 17년간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 게재된 수화논문 230편중에서 언어학, 교육학, 기계번역 공학을 중심으로 KSL 연구 동향 및 문제점과 전망에 대하여 일반통계적인 관점에서 살펴본다. 두 번째 부분은 수화언어에서 제스처(gesture)와 수화(sign)를 어떻게 구별하는가라는 기본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KSL 인칭대명사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이를 위해 세 가지 연구 질문부터 시작한다. Q1: KSL 인칭대명사에서 사용되는 수형은 한국어 인칭대명사 제스처와는 어떤 관계를 가지는가? Q2: KSL의 인칭대명사를 나타내는 음운적인 수화소들이 인칭, 수, 성의 문법형태소들과는 어떤 연관성을 갖고 있는가? Q3: KSL 일인칭대명사의 변이형은 무엇이고 왜 이런 변이형을 갖고 있는가? 형식언어학과 인지심리학에서는 제스처와 수화 구별을 위해 어떤 서로 다른 견해를 제시하고 있고 어떠한 논쟁을 하고 있으며 KSL 인칭대명사의 특성에서 어떤 견해가 우위에 있다는 증거는 무엇인지에 대하여 예를 들어 논의한다.
3) 특강 3(수요일): 노래 번역-언어와 언어학, 음악과 문학의 콰르텟(전종섭·박세리, 한국외대)
• ‘노래번역'의 목표는 시작언어의 노랫말을 '자연스럽게' 노래할 수 있는 도착언어 가사로 바꾸는 것이다. '노래번역'은 '번안'과 다르다. 노래번역가는 "Twinkle Twinkle Little Star / How I wonder what you are"를 "반짝 반짝 작은별 / 아름답게 비치네" 처럼 '무책임하게 번안'하지 않는다.
노래번역가는 언어와 언어학, 그리고 음악과 문학을 모두 융합시켜 전 세계 문화컨텐츠 시장에 내놓을 '상품'을 만든다. 본 특강에서는 국내 창작 뮤지컬 <투란도트>의 대표 넘버인 "부를 수 없는 나의 이름"을 영어와 일본어 노랫말로 번역하는 과정을 소개하면서 음절, 모라(Mora), 통사-의미-음운 표상의 불일치 문제와 음악 작품의 박자-리듬-멜로디프레이징과의 관계 등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이번 한국언어학회 여름학교 특강에서는 한국외대 통번역대학원에서 가르치는 한일 통역사 박세리 교수가 일본어의 음운론적 특성이 노래번역에 미치는 기술적 효과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아울러, 본 특강은 '공연이 있는 강의'로 진행될 예정이다. 본 특강에서는 경희대학교에서 강의하는 박호정 가수/보컬트레이너를 초대하여 국내 창작 뮤지컬 <투란도트>의 대표 넘버 "부를 수 없는 나의 이름"을 영어와 일본어 노래로 들어보는 감동의 시간을 가질 것이다.
3. 등록 신청
여름 언어학 학교는 한국 언어학회 회원뿐만 아니라 비회원 분들도 참가할 수 있습니다.
언어학에 관심 있는 많은 분들의 참여를 환영합니다.
신청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예비등록(1차): 7월 1일~31일
예비등록(2차): 8월 1일~18일
현장 등록: 8월 19일~21일
○ 등록비
등록비는 다음과 같습니다. 등록비는 최대 4강좌의 수강과 환영회, 특별 강연회 참가 비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강좌를 여러 개 수강하는 경우에도 등록비는 동일합니다. 한국언어학회 회원에게는 할인이 있습니다.